Cloud Native
-
12 Factors Heroku 플랫폼을 통해 방대한 앱의 개발, 운영, 확장 등을 관찰한 많은 사람들이 고안해낸 SaaS 개발 방법론 시간이 지나면서 앱이 유기적으로 성장하는 부분, 앱 코드베이스에서 작업하는 개발자들 간의 협업, 시간이 지나면서 망가지는 소프트웨어 유지비용을 줄이는 법에 집중 12 Factors의 목적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 SaaS 앱을 만들기 위함 설정 자동화를 위한 절차(declarative) 를 체계화 하여 새로운 개발자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 OS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을 명확히하고, 실행 환경 사이의 이식성을 극대화 클라우드 플랫폼 배포에 적합하고, 서버와 시스템의 관리가 필요없음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민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12 Factors + 3 Factors12 Factors Heroku 플랫폼을 통해 방대한 앱의 개발, 운영, 확장 등을 관찰한 많은 사람들이 고안해낸 SaaS 개발 방법론 시간이 지나면서 앱이 유기적으로 성장하는 부분, 앱 코드베이스에서 작업하는 개발자들 간의 협업, 시간이 지나면서 망가지는 소프트웨어 유지비용을 줄이는 법에 집중 12 Factors의 목적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진 SaaS 앱을 만들기 위함 설정 자동화를 위한 절차(declarative) 를 체계화 하여 새로운 개발자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 OS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을 명확히하고, 실행 환경 사이의 이식성을 극대화 클라우드 플랫폼 배포에 적합하고, 서버와 시스템의 관리가 필요없음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민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2022.10.26 -
Cloud Native Application Cloud Native Architecture에 의해 설계되고 구현된 Application을 의미 구성요소 DevOps Development + Operation을 합친 단어 고객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반영하기위해 운영 담당자와 개발담당자가 서로 소통하고 협업하여 계획 및 개발하고 빌드, 테스트,릴리스, 배포, 운영, 모니터링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을 강조하는 개발 방법론을 뜻함 보통 애자일 방법론을 통해 DevOps가 이루어짐 CI - CD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통합) 새로 개발한 코드들을 기존 코드와 병합하여 빌드 및 테스트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 Jenkins, Team CI, Travis CI 같은 도구를 사용 C..
Cloud Native ApplicationCloud Native Application Cloud Native Architecture에 의해 설계되고 구현된 Application을 의미 구성요소 DevOps Development + Operation을 합친 단어 고객의 요구사항을 빠르게 반영하기위해 운영 담당자와 개발담당자가 서로 소통하고 협업하여 계획 및 개발하고 빌드, 테스트,릴리스, 배포, 운영, 모니터링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을 강조하는 개발 방법론을 뜻함 보통 애자일 방법론을 통해 DevOps가 이루어짐 CI - CD 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인 통합) 새로 개발한 코드들을 기존 코드와 병합하여 빌드 및 테스트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 Jenkins, Team CI, Travis CI 같은 도구를 사용 C..
2022.10.26 -
Cloud Native Architecture Cloud Nativer란 클라우드 환경에 친화적이라는 원론적인 의미를 가짐 CNCF에서 처음 내세운 단어로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구축하며 실행하는 방법론을 의미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확장성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운영할 수 있음 컨테이너, 서비스 메시, 마이크로서비스, 불변 인프라, 선언적 API가 전형적인 접근 방식에 해당 회복성이 있고,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며, 가시성을 갖는 느슨하게 결합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음 견고한 자동화와 함께 사용하면, 엔지니어는 최소한의 수고로 영향력이 크고 예측 가능한 변경을 할 수 있음 Cloud Native Architecture의 구성 요..
Cloud Native ArchitectureCloud Native Architecture Cloud Nativer란 클라우드 환경에 친화적이라는 원론적인 의미를 가짐 CNCF에서 처음 내세운 단어로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구축하며 실행하는 방법론을 의미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확장성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운영할 수 있음 컨테이너, 서비스 메시, 마이크로서비스, 불변 인프라, 선언적 API가 전형적인 접근 방식에 해당 회복성이 있고, 관리 편의성을 제공하며, 가시성을 갖는 느슨하게 결합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음 견고한 자동화와 함께 사용하면, 엔지니어는 최소한의 수고로 영향력이 크고 예측 가능한 변경을 할 수 있음 Cloud Native Architecture의 구성 요..
2022.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