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 Spring Boot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application.yml 이용 server: port: 8081 // 원하는 포트 번호 입력 2. Configuration 이용 💡 인텔리제이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Edit Configurations 2. Add VM options 3. 값 입력 -Dserver.port=포트번호 3. 랜덤포트 이용 application.yml 이용 port 값으로 0을 입력 사용 가능한 포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server: port: 0 // 0의 의미는 랜덤포트를 사용하겠다는 의미
서버 Port 변경하는 법 with 랜덤 포트📢 Spring Boot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application.yml 이용 server: port: 8081 // 원하는 포트 번호 입력 2. Configuration 이용 💡 인텔리제이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Edit Configurations 2. Add VM options 3. 값 입력 -Dserver.port=포트번호 3. 랜덤포트 이용 application.yml 이용 port 값으로 0을 입력 사용 가능한 포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server: port: 0 // 0의 의미는 랜덤포트를 사용하겠다는 의미
2022.10.27 -
라이브러리 추가 // build.gradle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dbc' // 추가적으로 필요한 DB 커넥터를 추가하면 됩니다. ... } Repository 생성 DB와 연결할 repository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Repository 를 붙여 Repository라는 것을 알립니다. @Repository public class JdbcRepository{ // JdbcTemplate을 필드로 가져와야 합니다. private final JdbcTemplate jdbcTemplate; // 생성자로 DataSource을 주입하여 사용합니다. @Autowired public Jdb..
Spring JDBC Template 사용법라이브러리 추가 // build.gradle dependencies {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dbc' // 추가적으로 필요한 DB 커넥터를 추가하면 됩니다. ... } Repository 생성 DB와 연결할 repository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Repository 를 붙여 Repository라는 것을 알립니다. @Repository public class JdbcRepository{ // JdbcTemplate을 필드로 가져와야 합니다. private final JdbcTemplate jdbcTemplate; // 생성자로 DataSource을 주입하여 사용합니다. @Autowired public Jdb..
2022.10.21